존 스튜어트 밀은 영국 런던에서 1806년에 제레미 벤담의 친구이며 열렬한 공리주의 옹호자인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공리주의를 완성 시킨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를 알아보자.
<목차>
존 스투어트 밀의 생애
- 아동기
- 청소년기
- 공리주의자가 되다
- 정신적 변화와 말년
존 스튜오트 밀의 생애
아동기
아동기의 그는 아버지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았고, 후에는 제레미 벤담의 사사를 받게 된다. 정식 학교교육을 받은 적이 없이 사교육만을 받은 셈이다. 그런데 당시의 귀족 교육은 보통 집에서 홈스쿨링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오히려 지적 능력이 있는 부모 밑에서 홈 스쿨링을 하면서 어려서부터 고전을 충분히 읽어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경우가 많았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인문학 열풍이 불면서 자녀들에게 고전을 읽혀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다. 그러한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대표적인 케이스로 거론되는 사람 중의 한 명이 바로 존 스튜어트 밀이다.
그는 아버지에게 3세부터 희랍어를 배웠고, 8세부터는 라틴어를 배웠다. 15세에는 역사학과 경제학 그리고 철학과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들을 포함한 다양한 수업을 받았다. 그가 후에 철두철미하게 영국의 경험론적 관점에서 철학을 했다는 사실은 이러한 교육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
청소년기의 밀은 어떠했을까? 17세가 되던 해에는 밀은 아버지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인도 식민지를 관할했던 동인도 주식회사에 입사하였는데 52세에 그 회사를 은퇴했다고 한다. 요즘으로치면 정년퇴직을 한 것이다. 그런 면을 보더라도 상당히 성실하게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스타일이었던 것 같다.
그는 『자서전』에서 자신이 어린 시절 아버지에 대한 존경을 품고 있었다고 밝혔다. 또 장남으로서 아침마다 아버지와 산책하면서 나누는 학문적 대화에 많은 희열을 느끼기도 했다고 한다. 밀은 아버지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여러 가지 질문을 생각했다가 그것을 산책길에서 물어 보고 함께 토론했다고 한다.
자기 자녀가 제법 슬만한 질문들을 던지고 자신과 대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본다면 어느 아버지가 좋아하지 않을까? 그의 아버지인 제임스 밀은 그런 아들을 보며 흐믓해 했을 것 같다.
공리주의자가 되다
동생들의 교육에 장남으로서 맡은 바 책임을 다하려고 했다는 사실들도 무척 인상적인 내용이다. 후에 아버지의 권고에 따라서 밀은 벤담의 조수로서, 또 제자로서 일하게 되면서 공리주의적 사고에 심취하게 된다. 그의 아버지인 제임스 밀 또한 제레미 벤덤을 따라 열렬한 공리주의였기에 아들 밀을 벤덤에게 사사받게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나중에 그는 '공리주의 사회'라는 진보적단체를 구성하는 핵심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당시 영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전통에 기초한 여러 사회제도를 공리주의적 원칙하에서 개혁하려고 했던 벤담의 합리적 사고에 열렬한 지지자가 되나, 후에 밀은 벤담의 공리주의에 주요한 수정을 가한다.
그러나 20세에 그는 심각한 슬럼프에 빠지게 되고, 지적 활동에 일대변혁을 가져오고 마는 위기적 상황에 처하게 된다. 과거에 등한시하고 경멸하기까지 했던 문학과 시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가지게 된다. 자신의 어렸을 적 교육이 전적으로 자발적으로 이루어진 것만은 아니라는 데 대한 자성을 하게 되었다.
정신적 변화와 말년
그리고 밀은 자신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준 사람으로 워즈워드 (Wordsworth), 콜리지 (Coleridge), 칼라일 (Carlyle), 괴테 (Goethe), 생시몽(Saint-Simon), 그리고 콩트(Comte)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전환이 단순 쾌락주의적 공리주의에 머물렀던 벤담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독창적 공리주의를 전개해 나가게 되는 계기가 된다. 물론 그는 벤담을 비판하면서도 자신을 평생 동안 공리주의자라고 생각하는 점을 버리지 않았다.
또한 이 시기 동안에 그는 개인이 한 가지 획일된 사고와 행동을 하는 것이 가져올 수 있는 폐해를 절실하게 실감하게 된다. 이것은 뒤에 『자유론』에서 개인의 개별성과 자율성에 대한 열렬한 지지로 나타나게 된다.
25세의 나이에 밀은 부유한 상인의 아내이면서 지적으로 대단히 뛰어나다고 밀이 칭찬하게 되는 헤리옷 테일러 부인을 처음으로 만나게 된다. 헤리옷 부인이 다른 남자의 유부녀였기 때문에 그들의 친밀한 관계는 곧 영국 상류사회의 스캔들이 되었고, 그들의 만남은 헤리옷 부인의 남편이 죽고 난 후 결혼으로 완결된다.
그후 뜻하지 않게 그 부인은 밀과 프랑스 여행중에 사망하고, 그는 아비뇽에 집을 구입하고 그녀의 무덤을 가까이서 방문하곤 하는 열정적 사랑을 보여 주었다. 그의 자서전』은 그의 사후에 그 부인의 딸이 자신과 관계된 부분을 삭제한 채 출판사에 원고가 넘겨지게 되어서 출판되었다.
『자유론』의 헌사에서 그가 보여 준 그 부인에 대한 존경과 사랑은 보통사람의 상상을 초월하는 뜨거운 것이었다. 밀은 1873년에 67세의 나이로 진리에 대한 뛰어난 능력과 열정적인 마음을 가진 채 인류에게 지대한 공헌을 하다가 삶을 마감하였다.
2022.09.25 - [분류 전체보기] -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들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들
잘 아는 대로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 공리주의는 도덕의 주체를 개인 자신의 행복 또는 복지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개별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 행위 주체자의 도덕성
bokjinews.kr
2022.09.22 - [분류 전체보기] - 공리주의 비판의 문제들
공리주의 비판의 문제들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과 대응 오랜 세월을 거쳐서 정립되어온 공리주의는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왔다. 그리고 그 비판의 상당부분은 공리주의 스스로도 인정하여 왔다. 비판은 크게 두 가지의
bokjinews.kr
2022.09.22 - [분류 전체보기] - 공리주의의 형태에 따른 구분
공리주의의 형태에 따른 구분
다양한 형태의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해왔고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첫째,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구분이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행위 공리주
bokji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