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뉴스
  • 홈
  • 홈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13)
      • 잡식 (13)
  • 홈
  • 태그
  • 방명록
잡식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

존 스튜어트 밀은 영국 런던에서 1806년에 제레미 벤담의 친구이며 열렬한 공리주의 옹호자인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공리주의를 완성 시킨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를 알아보자. 존 스투어트 밀의 생애 아동기 청소년기 공리주의자가 되다 정신적 변화와 말년 존 스튜오트 밀의 생애 아동기 아동기의 그는 아버지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았고, 후에는 제레미 벤담의 사사를 받게 된다. 정식 학교교육을 받은 적이 없이 사교육만을 받은 셈이다. 그런데 당시의 귀족 교육은 보통 집에서 홈스쿨링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오히려 지적 능력이 있는 부모 밑에서 홈 스쿨링을 하면서 어려서부터 고전을 충분히 읽어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경우가 많았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인문학 열풍이 불면서 자녀들에게 고전을 읽혀야 한다는 주장..

2022. 9. 26. 22:59
잡식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들

잘 아는 대로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 공리주의는 도덕의 주체를 개인 자신의 행복 또는 복지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개별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 행위 주체자의 도덕성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까? 그것은 그 행위가 사회 전체의 복지를 얼마나 증가시키는가에 달려 있다.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가시키는 정도가 클수록 더욱 도덕적이라는 이야기다. 공리주의의 기본원칙들을 알아보자. 공리주의 원칙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말이다. 최대의 행복 즉 사회 전체의 복지에 기여하는 바가 클수록 더욱 공리주의에 어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리주의에는 몇 가지 기본 원칙들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자. 1. 각 개인은 자선의 의무를 가진다. 이 말은 무슨 말일까? 이는 자..

2022. 9. 25. 21:15
잡식

타노스의 고뇌

마블의 영화 어벤저스에 보면 타노스라는 빌런이 등장한다. 그야말로 우주적 악당으로 묘사되는 인물이다. 타노스는 우주 생명체의 절반을 죽게 만드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에 옮긴다. 물론 기쁜 마음으로 한 것은 아니다. 타노스의 고뇌를 생각해 보자. 타노스의 고뇌 다수의 행복, 소수의 행복 타노스의 함정 열림 미래 타노스의 고뇌 타노스는 왜 우주에 있는 생명의 절반을 없애려고 했을까? 타노스가 어렸을 때 살던 행정은 인구의 증가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식량과 환경의 문제, 사회적 문제 등으로 인해 그가 살던 행성은 멸망하고 말았다. 이때 그는 우주에 생명이 너무 많다는 결론을 내리고 우주를 지키기 위해서는 인구를 줄여야 한다고 깨닫게 된다. 그래서 모두 죽게 놔둘 수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절반의 생..

2022. 9. 22. 22:10
잡식

공리주의 비판의 문제들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과 대응 오랜 세월을 거쳐서 정립되어온 공리주의는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왔다. 그리고 그 비판의 상당부분은 공리주의 스스로도 인정하여 왔다. 비판은 크게 두 가지의 논점을 갖는 데 개인의 인식능력에 기초한 것과 도덕적 처방에 관한 것으로 나뉜다. 첫째, 공리계산의 어려움에 대한 비판 미래에 초래될 결과를 개인이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은 인식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어쩌면 불가능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설령 미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그 결과를 개인간 상호 비교가능한 수치적 효용으로 환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이다. 결과에 대한 철두철미한 계산은 불가능하겠지만 인식능력 한계 내에서 예측은 가능하다. 또 효용측정이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계산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2022. 9. 22. 21:21
잡식

공리주의의 형태에 따른 구분

다양한 형태의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해왔고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첫째,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구분이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행위 공리주의 행위 공리주의의 입장은 우리가 취하는 각각의 개별적인 행동이 공리주의의 원칙과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행위 공리주의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행동이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경험적 가정을 인식한 후 도덕적으로 알려진 대부분의 규칙을 위반할 수 있다. 선거일에 투표하기보다는 소풍을 가는 것이 개인의 유용성을 극대화하고, 한 사람의 투표가 선거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한 사람의 기권이 민주주의 체제 전체를 파괴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다. 그러므로 공리주의는 도덕적으로 개인이 기권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2022. 9. 22. 10:44
잡식

자유주의 철학은 무엇인가?

자유주의 철학 서구에서는 계몽주의 이래로 자유주의 철학이 사회에 큰 영향력을 끼쳐왔다. 계몽주의의 시대 이래로 서구에서는 자유주의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서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개인의 존엄성, 자유, 평등과 같은 가치에 기초한 사회를 주창하는 자유주의에 대한 공동체주의자들의 비판은 근자에 와서 그 목청을 점점 높여 가고 있다. 이에 우리는 롤즈와 고티에의 자유주의 입장을 살펴보고, 공동체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의 입장을 알아보고자 한다. 롤즈의 자유주의적 정의관 롤즈는 1921년에 태어나서 1950년에 프린스톤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53년부터 59년까지 코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62년부터 하버드 대학에서 가르쳐 왔다. 그는 정의의 문제만을 일관되게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온 학..

2022. 9. 20. 22:05
  • «
  • 1
  • 2
  • 3
  • »
반응형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3)
    • 잡식 (13)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 마음의 평안, 스토아 철학
  • 자유 민주주의의 도덕적 특성은 무엇인가?
  • 데카르트는 늦잠꾸러기였다?
  •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언제까지 틀린 말을 쓸 것인가?
  • 수인 딜레마의 문제와 나아가야 할 방향
  •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초는 무엇인가?
  •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
  •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들
  • 타노스의 고뇌
  • 공리주의 비판의 문제들

최근댓글

블로그 인기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언제까지 틀린 말을 쓸 것인가?
자유 민주주의의 도덕적 특성은 무엇인가?
수인 딜레마의 문제와 나아가야 할 방향
데카르트는 늦잠꾸러기였다?
타노스의 고뇌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복지뉴스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