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

잡식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

존 스튜어트 밀은 영국 런던에서 1806년에 제레미 벤담의 친구이며 열렬한 공리주의 옹호자인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공리주의를 완성 시킨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를 알아보자. 존 스투어트 밀의 생애 아동기 청소년기 공리주의자가 되다 정신적 변화와 말년 존 스튜오트 밀의 생애 아동기 아동기의 그는 아버지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았고, 후에는 제레미 벤담의 사사를 받게 된다. 정식 학교교육을 받은 적이 없이 사교육만을 받은 셈이다. 그런데 당시의 귀족 교육은 보통 집에서 홈스쿨링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오히려 지적 능력이 있는 부모 밑에서 홈 스쿨링을 하면서 어려서부터 고전을 충분히 읽어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경우가 많았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인문학 열풍이 불면서 자녀들에게 고전을 읽혀야 한다는 주장..

잡식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들

잘 아는 대로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 공리주의는 도덕의 주체를 개인 자신의 행복 또는 복지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개별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 행위 주체자의 도덕성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까? 그것은 그 행위가 사회 전체의 복지를 얼마나 증가시키는가에 달려 있다.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가시키는 정도가 클수록 더욱 도덕적이라는 이야기다. 공리주의의 기본원칙들을 알아보자. 공리주의 원칙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말이다. 최대의 행복 즉 사회 전체의 복지에 기여하는 바가 클수록 더욱 공리주의에 어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리주의에는 몇 가지 기본 원칙들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자. 1. 각 개인은 자선의 의무를 가진다. 이 말은 무슨 말일까? 이는 자..

잡식

타노스의 고뇌

마블의 영화 어벤저스에 보면 타노스라는 빌런이 등장한다. 그야말로 우주적 악당으로 묘사되는 인물이다. 타노스는 우주 생명체의 절반을 죽게 만드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에 옮긴다. 물론 기쁜 마음으로 한 것은 아니다. 타노스의 고뇌를 생각해 보자. 타노스의 고뇌 다수의 행복, 소수의 행복 타노스의 함정 열림 미래 타노스의 고뇌 타노스는 왜 우주에 있는 생명의 절반을 없애려고 했을까? 타노스가 어렸을 때 살던 행정은 인구의 증가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식량과 환경의 문제, 사회적 문제 등으로 인해 그가 살던 행성은 멸망하고 말았다. 이때 그는 우주에 생명이 너무 많다는 결론을 내리고 우주를 지키기 위해서는 인구를 줄여야 한다고 깨닫게 된다. 그래서 모두 죽게 놔둘 수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절반의 생..

행복한정보
'잡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